티스토리 뷰

  경제고통지수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경제고통지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해요. 경제고통지수에 대해 이해하게 되신다면,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유용한 지표를 배우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포켓용어-28] 경제고통지수는 무엇?
[포켓용어-28] 경제고통지수는 무엇?

 

 

 

경제고통지수, 아이와 함께!

 

 

  '경제고통지수'는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사람들이 얼마나 힘들어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여기서 '힘들다'는 것은 두 가지 큰 문제를 말하는데요.

 

  첫 번째는 '물가 상승'이에요. 이해하기 쉽게 '물건 가격이 오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예를 들어, 사탕이 원래 500원이었는데 갑자기 1000원이 되었어요. 그럼 사탕을 사려고 했던 친구들은 더 많은 돈이 필요하겠죠? 이렇게 물건 가격이 오르는 것을 '물가 상승'이라고 해요.

 

  두 번째는 '실업'이에요. 이것은 '일자리가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예를 들어, 아빠나 엄마가 일하는 곳이 문을 닫아서 일자리를 잃었다고 생각해 봐요.. 그럼 아빠나 엄마는 돈을 벌 수 없겠죠? 이렇게 일자리가 없어지는 것을 '실업'이라고 해요.

 

  혹시 이해가 어려운 아이들을 위해 한 가지 예시를 더 들어볼게요. 어른들도 좋아하지만, 초등학교 아이들, 아이스크림 너무 좋아하죠. 아이스크림 가격이 계속 오르면, 아이들은 동전 한 푼 두 푼 모아서 아이스크림을 사 먹는 게 어려워집니다. 이건 바로 '물가 상승'의 한 예입니다. 그리고 아이들의 부모님이 일자리를 잃게 되면, 아이들에게 용돈을 줄 돈이 없어지게 됩니다. 이건 '실업'의 상황이에요.

 

이 두 가지 상황이 동시에 일어나면, 즉 아이스크림 가격이 계속 오르고, 부모님이 일자리를 잃게 되면 아이들은 아이스크림을 사 먹는 것이 더욱 어려워집니다.

 

  경제고통지수는 이 두 가지 문제,  '물건 가격이 오르는 것' '일자리가 없는 상황'이 동시에 얼마나 많이 일어나는지를 보는 지표예요. 이 두 가지 문제가 많이 일어날수록 사람들은 더 힘들어하겠죠? 그래서 이를 '경제고통지수'라고 부르는 거예요.

 

  경제고통지수에 포함되는 우리나라 실업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으니 체크하고 넘어가세요. 경제고통지수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실 거예요. 

 

 

 

 

 

 

 

경제고통지수, 어른과 함께!

 

 

 

 

  지금부터는, 경제고통지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준비되셨죠?

 

  경제고통지수는 1975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개발한 지표인데요, 그는 실업률물가상승률이 국민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이 두 가지를 합한 값을 '경제고통지수'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이 수치가 높아지면 그만큼 실업자가 많아지고 물가가 높아져 국민의 삶의 고통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경제고통지수가 높을수록 국민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각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

 

  하지만 경제고통지수를 절대적인 것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나라마다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계산하는 방법이 다르고, 빈부격차, 조사 대상 등에 따라서도 느끼는 고통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경제고통지수를 통해 나라 간의 삶의 질을 단순하게 비교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고통지수는 국민의 삶의 질을 대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도구입니다. 그래서 이후에도 다양한 연구자들이 경제고통지수를 개선하고 확장하는 노력을 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1999년 미국 하버드대의 로버트 배로 교수는 오쿤의 경제고통지수를 확장한 것으로, 국민소득증가율과 이자율을 추가하여 '배로 고통지수'를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기존의 경제고통지수는 실업률과 물가상승률만 고려했지만, 배로는 이 외에도 국민소득증가율과 이자율이 국민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했습니다. 국민소득증가율이 높을수록 국민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이자율이 낮을수록 대출을 이용한 투자나 소비가 증가하여 경제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이처럼 배로 고통지수는 더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지표입니다. 

 

  경제고통지수에 포함되는 우리나라 실업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으니, 아직 못하신 분들은 꼭 체크하고 넘어가세요. 경제고통지수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실 거예요. 

 

 

 

 

 

 

마치는 글

 

 

  오늘은 경제고통지수에 대해 살펴보았어요. 어떠셨나요? 이해가 잘 되셨나요? 오늘도 유익한 정보가 되셨길 바라며, 아이와도 함께 할 수 있는 쉽게 배우는 경제용어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귀한 발걸음 감사합니다. 

 

 

 

012345
[포켓용어-28] 경제고통지수는 무엇?

 

 

 


<참고자료>

1. 한국은행(2023), 경제금융용어 700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