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계순저축률 무엇일까요? 내 아이 돈 걱정없이, 부유하고 풍요롭게 살게 하고 싶지 않으세요? 그렇다면 잘오셨습니다. 아이들도 부모님과 함께 경제용어를 하나씩 공부해 나간다면 5년 후, 10년 후, 20년 후 아이들은 얼마나 달라져 있을까요? 우리는 못 받았지만, 아이들은 이걸 알고 모르고의 차이가 엄청난 부의 차이를 만들게 될 거라 장담합니다.  지금부터 가계순저축률이 무엇인지 함께 살펴볼게요.

 

 

 

 

[포켓용어-3] 가계순저축률은 무엇?
[포켓용어-3] 가계순저축률은 무엇?

 

 

 

 

가계순저축률, 아이와 함께!

 

 

  가계순저축률은 경제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를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가계순저축률은 가계의 순수입에 대한 저축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간단히 말해, 가정이 벌어들인 돈 중 얼마나 많은 비율을 저축으로 남기는지를 보여주는 것이죠.

 

  예를 들어, 가정 A가 한 달 동안 총 1,000,000원의 수입을 얻었고, 이 중에서 300,000원을 저축으로 남겼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가계순저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가계순저축률 = (저축액 / 총 수입) × 100 = (300,000원 / 1,000,000원) × 100 = 30%

 

  따라서 가정 A의 가계순저축률은 30%입니다. 이는 가정 A가 벌어들인 수입 중 30%를 저축으로 남겼다는 뜻입니다.

 

  가계순저축률이 높다는 것은 가정이 저축을 많이 하고 소비를 상대적으로 적게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미래를 위한 대비를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가계순저축률이 낮다는 것은 가정이 소비를 많이 하고 저축을 상대적으로 적게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재정이 불안정하고 미래에 대비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겠죠.

 

  가계순저축률은 가계의 경제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표입니다. 높은 가계순저축률을 유지하는 것은 개인과 가정의 재정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경제 전반적으로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가계순저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 습관을 체크하고 저축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축을 통해 미래에 대비하고 경제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죠.

 

 

 

 

가계순저축률, 어른과 함께!

 

 

 

 

  가계순저축률은 가계가 얼마나 많은 돈을 저축으로 남기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가계가 얼마나 돈을 모아두는지를 알 수 있는 거죠.

 

  가계순저축률을 계산할 때는 가계의 순수입에서 저축액을 나누어서 비율을 구합니다. 그런데 가계순저축률은 순수입만으로만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가계의 실질적인 소득을 고려하기 위해 몇 가지 요소를 더해줍니다.

 

  첫 번째로, 가계의 순저축액에는 정부나 기타 기관으로부터 받은 무상의 혜택인 사회적 현물이전도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정부에서 제공하는 무상교육이나 보건소에서의 무상진료 등이 해당됩니다. 이런 혜택도 가계의 소득과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어요.

 

  두 번째로,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도 고려됩니다. 연금기금은 퇴직연금과 같이 가계가 장기적으로 모아둔 돈을 말합니다. 가계가 연금 부담금을 납부하고 연금을 받는 경우, 이 차액도 가계의 저축액에 반영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계의 장기적인 저축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요.

 

  이렇게 가계순저축률을 계산하면, 가계의 저축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높은 가계순저축률은 가계가 많은 돈을 저축으로 모으는 것을 의미하며, 재정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면에 낮은 가계순저축률은 가계가 소비에 많은 돈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죠.

 

  이렇게 가계순저축률을 이해한다면 개인적인 재정 건강을 평가하고, 저축 습관과 소비 패턴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부나 금융 기관도 가계순저축률을 참고하여 정책을 만들거나 금융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요.

 

 

 가계순저축률은 다음과 같은 계산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가계순저축률 = (가계의 순저축액 / (가계순처분가능소득 +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 × 100
 
  여기서,  
  - 가계의 순저축액은 가계가 저축으로 모아둔 돈을 의미합니다.
  - 가계순처분가능소득은 가계가 실제로 가지고 있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은 정부나 기타 기관으로부터 받은 무상의 혜택인 재화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은 가계가 연금 부담금을 납부하고 연금을 받는 경우, 이 차액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계순저축률을 계산할 때는 가계의 순저축액을 분자에 두고, 분모에는 가계순처분가능소득,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그리고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모두 더한 값으로 나누어 비율을 구합니다. 이 값을 100으로 곱하여 백분율로 표현하면 가계순저축률이 됩니다.
 
  예를 들어, 가계의 순저축액이 500,000원이고, 가계순처분가능소득이 1,000,000원,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이 200,000원,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이 50,000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경우 가계순저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가계순저축률 = (500,000원 / (1,000,000원 + 200,000원 + 50,000원)) × 100
    = (500,000원 / 1,250,000원) × 100 = 40%
 
  따라서, 이 가계의 가계순저축률은 40%입니다. 이 값을 통해 가계의 저축성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가계저축률과 관련된 통계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게 아래의 내용을 준비했어요. 이론을 배웠으니 실전으로 실천해 보세요. 실행만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루에 1번씩만 달라져도 여러분의 인생은 몰라보게 성장해 있을 것입니다. 바로 확인해 보세요. 

 

 

 

 

 

  오늘은 '가계저축률은 무엇? 이라는 주제로 함께 살펴보았는데요. 아이와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유익한 정보가 되셨길 바라며, 아이와도 함께 할 수 있는 쉽게 배우는 경제용어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귀한 발걸음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포켓용어-5] 가계처분가능소득은 무엇?

가계처분가능소득 무엇일까요? 오늘은 가계처분가능소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가계처분가능소득을 통해 우리가 자유롭게 소비와 저축에 사용할 수 있는 소득에 대

aback.neo38pjg.com

 

 

 

 


<참고자료>

1. 한국은행(2023), 경제금융용어 700선


 

 

 

0123456789
[포켓용어-3] 가계순저축률은 무엇?

 

반응형